건강보험 직장 / 지역가입자란?
■ 2021년 직장가입자 건강보험 요율
기준 | 보험료율 | 근로자 | 사업주 |
건강보험료 보수월액 기준 | 6.86% | 3.43% | 3.43% |
장기요양보험료 건강보험료 기준 | 11.52% | 가입자부담 50% | 사업자부담 50% |
보험료 산정방법은 아래에 있습니다.
건보료 부담이 갈수록 늘어나네요. ㅠㅠ
■ 직장가입자 보수월액보험료
보수월액에 포함된 보수를 제외한 소득(보수외소득)이 연간 3,400만원을 초과하는 직장가입자에게 보수외소득을 기준으로 소득월액보험료 부과(2018.07.01. 시행)
보수월액보험료(2021년도 기준)
- 건강보험료 = 보수월액 x 보험료율 (6.86%=근로자 3.43%+사용자 3.43%)
- 장기요양보험료 = 건강보험료 x 장기요양보험료율 (11.52%)
* 2006년 12월 이전 건강보험료 산정 : 표준보수월액 * 보험료율
* 표준보수월액 : 표준보수월액 등급표(2007.01.01. 폐지) 참조
소득월액보험료(2021년 기준)
- 건강보험료 = (연간 보수외소득 - 3,400만원) ÷ 12월 × 소득평가율 × 건강보험료율(6.86%)
- 1(연간 보수외소득 – 3,400만원) ÷ 12월 = 소득월액
- 2(소득월액 × 소득평가율) × 건강보험료율 = 소득월액보험료
- 소득평가율: 사업·이자·배당·기타소득(100%), 연금·근로소득(30%)
- 2018. 6월 이전 소득월액 건강보험료 산정: 연간 보수외소득 × 소득평가율 ÷ 12월 × 건강보험료율 × 50/100
- 장기요양보험료 = 건강보험료 x 장기요양보험료율(11.52%)
보수월액
- 직장가입자가 당해 연도에 받은 보수총액을 근무월수로 나눈 금액
- 월별 보험료 상한액: 7,047,900원월별 보수월액 상한액: 102,739,068원(월별 보험료 상한액을 역산한 금액)
- 월별 보험료 하한액: 19,140원월별 보수월액 하한액: 279,300원(월별 보험료 하한액을 역산한 금액)
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제32조(월별 보험료액의 상한과 하한) 개정
상·하한선 기준이 ‘보수월액’ 기준에서 ‘보험료’ 기준으로 변경됨
- 상한선 : 전전년도 직장 평균 보수월액 보험료의 30배(7,047,900원)
- 하한선 : 전전년도 직장평균 보수월액보험료의 8%수준(19,140원)
전전년도(2019년) 직장 평균 보수월액 보험료(234,930원)
소득월액
- 보수월액에 포함된 보수를 제외한 직장가입자의 소득(이자, 배당, 사업, 근로, 연금, 기타소득)으로 합산 후 3,400만원을 공제한 금액을 12로 나누어 소득종류에 따라 소득평가율을 곱한 금액
- 소득평가율: 이자, 배당, 사업, 기타(100%) 근로소득, 연금소득(30%)
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제32조(월별 보험료액의 상한과 하한) 개정
상·하한선 기준이 ‘보수월액’ 기준에서 ‘보험료’ 기준으로 변경됨
- 상한선 : 전전년도 직장 평균 보수월액 보험료의 15배(3,523,950원)
- 하한선 : 소득월액은 하한선 없음
전전년도(2019년) 직장 평균 보수월액 보험료(234,930원)
보험료율(2021년도 기준)
- 건강보험료율 : 6.86%
- 장기요양보험료율 : 11.52% (근로자, 사용자 모두 11.52%)
◆ 지역보험료 (직장가입자) <<<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확인가능합니다.
'업무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산재보상서비스 (1/3) (0) | 2017.06.08 |
---|---|
연차란? (0) | 2017.06.08 |
생애전환기 건강진단 대상자 (0) | 2017.06.05 |
포괄임금제도는 포괄노예제도? (0) | 2017.06.05 |
고용보험-실업급여란? (0) | 2017.06.05 |